문제 설명
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.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,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.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.
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.
| 명함 번호 | 가로 길이 | 세로 길이 |
| 1 | 60 | 50 |
| 2 | 30 | 70 |
| 3 | 60 | 30 |
| 4 | 80 | 40 |
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, 70이기 때문에 80(가로) x 70(세로)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(가로) x 50(세로) 크기의 지갑으로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. 이때의 지갑 크기는 4000(=80 x 50)입니다.
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,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sizes의 길이는 1 이상 10,000 이하입니다.
sizes의 원소는 [w, h] 형식입니다.
w는 명함의 가로 길이를 나타냅니다.
h는 명함의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.
w와 h는 1 이상 1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입출력 예
| SIZE | RESULT |
| [[60, 50], [30, 70], [60, 30], [80, 40]] | 4000 |
| [[10, 7], [12, 3], [8, 15], [14, 7], [5, 15]] | 120 |
| [[14, 4], [19, 6], [6, 16], [18, 7], [7, 11]] | 133 |
입출력 예 #2
명함들을 적절히 회전시켜 겹쳤을 때, 3번째 명함(가로: 8, 세로: 15)이 다른 모든 명함보다 크기가 큽니다. 따라서 지갑의 크기는 3번째 명함의 크기와 같으며, 120(=8 x 15)을 return 합니다.
입출력 예 #3
명함들을 적절히 회전시켜 겹쳤을 때, 모든 명함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지갑의 크기는 133(=19 x 7)입니다.
코드
첫번째 시도
데이터 정의를 할 때, 가장 최소의 사각형을 찾아야 한다.
좌측과 우측의 값들을 전부 찾을 때 중요한 것 은 사이즈를 정의해야함 이다.
좌측값중 Max Min과 우측값중 Max Min을 계산한 다음.
거기서 또 Max와 Min을 가져오면 될것이다.
그러면 가장 큰 사이즈와 가장 작은 사이즈가 남을 것 이다.
생각해서 코드 작성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int solution(vector<vector<int>> sizes) {
int RMax = 0; int LMax = 0;
for(auto& size : sizes)
{
RMax < size[0] ? RMax = size[0] : 0;
LMax < size[1] ? LMax = size[1] : 0;
}
return RMax * LMax;
}
실패
가로로 눕혀 수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.
두번째 시도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int solution(vector<vector<int>> sizes) {
int RMax = 0; int LMax = 0;
for(auto& size : sizes)
{
sort(size.begin(),size.end());
RMax < size[0] ? RMax = size[0] : 0;
LMax < size[1] ? LMax = size[1] : 0;
}
return RMax * LMax;
}
성공
생각해보니 옆으로 뒤집는걸 고려하지 않고, 결과물은 그저 가로세로길이의 곱을 요구함으로.
원본 가로세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.
그럼으로 데이터를 연산할 때 그냥 sort해버리고 계산하면 된다는걸 깨달았다.